The Will 유언
2018 l 20m l Film and Video Installation

in collaboration with Jenny Cho

“The Will” is the first outcome of the artists’ ongoing collaborative visual research on writing counter-histories in the context of intermediality and performativity. The work reenacts the recurring elements from existing filmic, theatrical and literary sources, which contemplate on the foretelling of the conditions consisting a historical and political rupture.

This interdisciplinary visual experiment, namely of painting and film, was conceived during the volatile period of political upheaval in South Korea, “the candlelight
revolution” which took place throughout the winter 2016-17 and subsequently culminated in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The artists took interest in grasping the informed and almost programmed aesthetics of revolution, prevailing phenomena at the squares of Seoul, in relation to the affects of ‘negative utopia’, which were also evidently observed. For this, performance and pre-enactment were employed as documenting tools; the dialogues between the archive materials and the newly constructed scenes are generated. The work is largely inspired by “The Man Who Left His Will on Film”, Nagisa Oshima’s 1970 film of which the excerpts were also used.

Directors: Sungeun Kim, Jenny Cho
Producers: Sungeun Kim, Jenny Cho
Writers: Sungeun Kim, Sojeong Lee
Camera: Kkotnarae Bae
Cinematographer/DP: Sungeun Kim, Kkotnarae Bae
Editing: Sungeun Kim
Music: Manuela Schininà
Sound: Manuela Schininà
Cast: Sojeong Lee, Moocho Hwang, Dambi Kim, Sang Lee, Jooya Kim, Jae Hyung Oh, Taebeom Seo, Hyerin Jeong, Yooni Ham

유언
(제니조 와의 협업) 2018
HD / 26 분

2016년 겨울 한국은 ‘복잡성, 동시성, 불확실함과 잠정적 과정’ 속의 ‘기묘한 유토피아’였다. ‘죽은 시체’ 마저 ‘학대’하는 ‘이 사나운 곳’에, ‘시간의 고속도로’에서 언제나 우위에 있어왔던 ‘승자’가 이번에는 ‘과거에 따라잡힌’ 듯 했던 것이다. 광장 민주주의 가 이뤄낸 탄핵이라는 사실, 평화시위 프레임을 둘러싼 논쟁, 현실이 된 음모론과 잠재적 예언들까지 이 혼란의 시간이 어떻게 발화 혹은 기록되어야 할까? 혹은 미래나 과거의 어떤 지점에서 ‘발췌(excerpt)’ 혹은 ‘인용 (Quote)’ 되어야할까?

변화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차 있던 광화문 광장에서 사람들이 촛불혁명을 수행하는 광경은 사실 낯선 풍경은 아니었다. 20세기 내내 재현 혹은 재생산되었던 혁명의 이미지들이 그곳에서도 반복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다가올 변화의 주류에 자신이 포함되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촛불과 깃발을 들었다. 이 영화는 과거에도 미래에도 언어가 없을 이들의 이야기, 곧 잊혀져버리고 말 감상과 정치적 함의들을 2016년 당시 퍼포먼스로 기록한 시도이다. 나기사 오시마의 영화 <도쿄전쟁전후비화 > 그리고 김명순의 시 <유언 > 등을 인용 및 발췌하여 재해석한 퍼포먼스는 참조된 작품들과 함께 영상콜라쥬의 형식을 띈다.

분노한 민중의 광장 민주주의는 탄핵이라는 거시적 이야기로 기록되었지만 그 과정 속 소수자에 대한 배제가 초래한 내부적 혼란은 혁명의 큰 의제를 위한 당 연한 갈등 혹은 희생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영화는 혁명 전야에 감독들이 느꼈던 어떤 종류의 기시감을 기록하려 한 시도이다. 우리는 기시감이 기억의 변칙일 수도있지만 잠재적인 의미에서 예언적일 수 있다고 보았고, 영화와 퍼포먼스를 매체로 기록 및 표현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이 작업은 각각 영상과 회화 작업을 하는 두 작가가 경계인의 정체성 으로 바라본 한국사회 그 어떤 변화의 순간을 기록하려 한 시도이다. 미디어고고학적 맥락안에서 대안적 역사를 설계 및 제안하기의 방식 으로서 시작된 이 작업은 문학과 퍼포먼스, 영상 와 회화 등 상호매체 성을 그 방법론으로 차용하여 실험하는 리서치 협업 프로젝트의 첫 결과물이다. 이 영상은 20세기 정치적/역사적 변화의 문턱에서, 혹은 그 후의 시 대성을 반영하는 영화, 시, 소설, 안무 등 이미 존재하는 여덞 작품을 참조하여 2017년 1월 서울에서 촬영되었다. 원재료가 소환되어 해체 되고 재조립되는 과정은 그것의 재현(reproduce) 보다는 재연(reen- act)에 충실함으로서 ‘각주달기’ 로서 영상만들기의 가능성을 타진하 며 이는 변화의 비가시성 혹은 역사의 가변성에 직면한 기록자이자 작가의 역할에 대해 질문한다.

**거리를 가득 메워 강을 이룬 사람들 틈에서 이상한 소문이 들려왔다. 어떤 이들이 한 손에 신문을 들고 자신들이 ‘미래에서 왔다 ’고 전하고 있었다. 예언 자들이었다. 자신의 마음이 자신을 앞질러갔고, 앞질러간 마음을 따라 도착한 곳에 미래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수만 개의 시간의 겹이 교차하던 하나의 점 위에서 나타났다. 약속의 말들로 넘쳐나던 거리 위에서 그들은 미래에 서 보고 들은 것을 말해주었다. 귓속말로 예언을 전해 들은 사람들은 진짜와 진짜가 아닌 것 사이에 있었다. 시간의 촘촘한 짜 임새가 헐거워졌고, 그 사이로 소문과 소문이 아닌 것들이 드나들었다. 불 순한 것과 불순하지 않은 것, 중요한 것과 그것보단 덜 중요한 것, 보여지는 것과 보 여지지 않는 것들이 벌어진 시간의 틈 사이로 파고들었다. 그날 거리에선 응축된 성취의 감각이 퍼졌지만 사람들은 곧 잊어버렸다. 예언자들도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예언의 말들은 인쇄된 종이 위에 여전히 예언의 상태로 남아있다. (에세이, 이소정)

The square had a sea of people. A strange rumor could be overheard. Those who were de- livering the news said: “We came from the future” They were the prophetesses. They said their minds surpassed their bodies ar- riving to the future! They appeared on a dot where countless layers of time crossed. The streets were overflowing with the words of promises, but the prophetesses only spoke of what they themselves saw and heard from the future. Those who overheard them stood be- tween the truth and the untruth. The make of time became loose through which the ru- mor frequented. The ulterior motives, invis- ible and less important things seeped into fissures. On that day the condensed sense of accomplishment pervaded the streets, which was soon forgotten by the very people. The prophetesses never came back. Their words still remained as a kind of status.

***세상이여내가당신을떠날때
개천가에누엇거나들에누엇거나
죽은시톄에게라도더학대하시오
그래도부죡하거든
이다음에나가튼사람이잇드래도
할수만잇는대로또학대하시오,
그러면나는셰상에다신안오리다

<유언 > 김명순
1924년 5월 29일 조선일보 개재

Dear world, when I leave you Whether I fall into a sewer
or bleed into the fields
abuse my corpse
If you are not satisfied
next time you see
another one like me
treat her as cruelly as you can
then i will never come here again

"The Will", Myeongsoon Kim
May 25 1924, Chosun-Ilbo

main_work_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