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ient Island
2016 I 29min I HD
Set on Jeju Island (South Korea), Transient Island explores the contradictions of a so-called transnational paradise. The video reflects how the island has been idealized through government-led campaigns and museum displays promoting capitalistic development. By mimicking the schizophrenic experience of a tourist, the work traces how ‘exotic’ cultures have been systematically hybridized and instrumentalized on the island since the Cold War era.
Graduate thesis for Meisterschüler in Media Arts,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잠시, 섬
2016 | 29분 | HD
한국의 제주도를 배경으로 '초국적 낙원'이라는 이상이 내포한 모순을 탐구한다. 이 영상은 자본주의적 개발을 이상화하는 정부 주도의 캠페인과 박물관 전시를 비추며, 섬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분열적인 경험을 모방한다. 이를 통해 냉전 시기부터 제주도에 체계적으로 이식되어온 '이국적' 문화의 혼성화 과정을 드러낸다.
베를린 예술대학교 미디어아트과 마이스터슐러 졸업 작품
Forza del Passato II
2018 I 15m I HD
Starring Heesook Han and Hyochan Kim
A continuation of an earlier video inspired by Pier Paolo Pasolini’s poem Forza del Passato, this work expands the theme of poetic remediation through spoken word. Performed by the artist’s mother, the protagonist enters a surveilled, hyper-technologized environment in Suwon, South Korea—promoted as a "Smart City." Drawing parallels between artificial lighting systems and cinematic light, the film explores the documentary medium as a site of translation and performative inquiry.
Touching From a Distance Transmediationsprozesse im digitalen Zeitalter / Touching From a Distance. Transmediations in the Digital Age, Literaturhaus, Berlin, 2018
과거의 힘 II
2018 | 15분 | HD
출연: 한희숙, 김효찬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시 <과거의 힘>에서 영감을 받은 전작의 연장선으로, 이 작업은 말로 전달되는 시의 수행성을 확장한다. 작가의 어머니가 등장하는 이 영상은, ‘스마트시티’로 홍보되는 수원의 감시적이고 기술화된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인공조명과 영화적 조명의 유비를 통해, 다큐멘터리 매체가 낯설음을 번역하고 수행하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FORZA DEL PASSATO I
2015 I 6min I HD
Starring Heesook Han
A quiet portrait of the artist’s mother, a housewife in suburban South Korea. Scenes of her daily life are accompanied by Pasolini’s poem Una Forza del Passato, recited by both Orson Welles and the mother herself. As the lines echo and repeat, she makes her way to a neighboring house, set on a small untouched patch of land amid urban development, to perform a poetry reading.
Produced at M.A. in Visual and Media Anthropology, Freie Universität Berlin
Screened at „Jajaja Nenene“, Fata Morgana Galerie , 2016
과거의 힘 I
2015 | 6분 | HD
출연: 한희숙
도시 근교에 사는 작가의 어머니를 담은 초상. 일상의 장면 위로 파솔리니의 시 <과거의 힘>이 오손 웰스와 어머니의 목소리로 반복되어 흐른다. 그녀는 시 낭독을 위해 도시 개발에서 비껴간 이웃의 작은 땅으로 점점 걸음을 옮긴다.
베를린 자유대학교 시각 및 미디어 인류학 석사과정에서 제작됨
Maqluba
2015 I 5min I Digitalized 16mm I Co-direction with Andreea Campeanu
In a Berlin apartment, Ali and Nidal—photojournalists from Gaza—reflect on their lives as war photographers in their own homeland. Joined by visual anthropologists Andreea and Sungeun, the conversation explores the limits of language in capturing war’s sensory reality. As they share Maqluba, a traditional Palestinian dish prepared by Ali, the act of eating becomes a way to access the layered feeling of home—one marked by both belonging and conflict.
Produced at M.A. in Visual and Media Anthropology, Freie Universität Berlin
Maqluba
2015 | 5분 | 디지털 변환 16mm
공동연출: 안드레아 캄페아누
베를린의 한 아파트에서, 가자 출신 포토저널리스트 알리와 니달은 고향에서 전쟁을 기록해온 경험을 들려준다. 영상인류학자 성은과 안드레아는 전쟁의 냄새를 묻지만, 그 질문은 언어로 표현되기엔 너무도 한계가 있다. 알리가 직접 만든 팔레스타인 전통 음식 Maqluba를 함께 나누는 순간, 전쟁과 함께 존재하는 ‘고향’의 감각에 한걸음 다가선다.
베를린 자유대학교 시각 및 미디어 인류학 석사과정에서 제작됨
Nostromo
2013 I 12m I HD I Co-direction with Johannes Dahl
Starring Johannes Aue, Lisa Heinrici, Hannah Müller
Set in a supermarket transformed into a theatrical stage, Nostromo is a sci-fi-inspired experimental film in which three actors perform an improvised shopping routine under a state of emergency. Drawing from a script adapted from Alien (1979), the performers deconstruct and repeat scenes, blurring the line between fiction and reality. Filmed with five cameras, the work closely observes shifting emotional states, exposing the tension between staged performance and everyday space.
Produced at Media Arts,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노스트로모
2013 | 12분 | HD
공동연출: 요하네스 달
출연: 요하네스 아우에, 리사 하이너리치, 한나 뮐러
베를린 예술대학교 미디어아트과 제작
슈퍼마켓을 무대로 한 공상과학 실험영화로, 세 명의 배우가 일상적인 쇼핑 루틴을 비상사태처럼 즉흥적으로 수행한다. 영화 에일리언 (1979)의 장면을 각색한 대본은 배우들에 의해 해체되고 반복되며, 극적 장치와 현실 사이의 긴장을 드러낸다. 다섯 대의 카메라는 배우들의 심리 변화를 세밀히 따라가며, 연극성과 실제 공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괴리감을 통해 영화 제작과정과 결과물 사이의 여백을 드러낸다.
The Letters of Stephan Wiese
2012 I 11min I HD I Single Channel Video
Starring Isabelle Philippe, Wen Shuan and Roger
Filmed in a soon-to-be-renovated Berlin apartment, The Letters of Stephan Wiese weaves a fictional narrative inspired by the absence of the artist’s reclusive neighbor and three vintage documents found at a thrift shop: a restraining order, an empty envelope, and photo documentations of Berlin train system. The film lingers in the space between disappearance and reimagination.
Produced at Media Arts,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Limited Space: Sarajevo / Berlin, designtransfer,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Germany
스테판 비제의 편지들
2012 | 11분 | HD | 단채널 비디오
출연: 이자벨 필립, 웬 슈안, 로저
베를린 예술대학교 미디어아트과 제작
작가가 거주하던 베를린 아파트에서 30년간살던 이웃이 퇴거한 후, 리노베이션 전의 빈 공간에서 촬영되었다. 세 가지 빈티지 문서—접근금지 명령서, 빈 봉투, 베를린 열차 사진 기록 —와 은둔했던 이웃의 부재에서 영감을 얻어 픽션을 구성했다. 이 작업은 사라진 존재와 그 재구성 사이의 여백에 머문다.
An irrelevant letter for most of people
2012 I 12min I HD
Inspired by Roland Barthes’ Camera Lucida, this film reflects on the self-deception of capturing time through images. Tracing a day-long journey—from a stranger in Duomo Square to an anxious play with objects in a closed room—the filmmaker meditates on memory, alienation, and the irretrievability of experience. A silent letter read by a lover in the final scene becomes a ghostly object: invisible to the viewer, yet standing between the filmmaker and what once felt immediate. What remains is a ritual of filming—and its ultimate futility.
Produced at Media Arts,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무의미한 편지
2012 | 12분 | HD
베를린 예술대학교 미디어아트과 제작
롤랑 바르트의 『카메라 루시다』 읽으며 만들어진 이 영화는, 순간을 이미지로 붙잡으려는 자기기만적 욕망을 반추한다. 두오모 광장의 낯선 사람을 응시하는 장면에서 시작해, 폐쇄된 방 안의 물건들과 불안한 놀이를 이어가며—영화는 하루 동안의 물리적·정서적 여정을 따라간다. 마지막 장면에서 연인이 읽는 편지는 관객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와 현재 사이에 놓인 유령 같은 존재가 된다. 남는 것은 기록하려는 의식—그리고 그것의 허무함이다.
The Fairly Honorable Defeat
2009 I 4min I HD
Starring Mookyung Sohn and Abby Slawik
The video documents a performance inside a long-abandoned water tower in Heinerdorf, Berlin—once used by the Russian army during WWII. In spring 2009, performers Abby Slawik and Mookyung Sohn launched Wasserturm – Organic Graffiti, a project aimed at cultivating plants within the decaying structure. The film captures the quiet beginning of the process, as they lay soil and plant seeds on the first day.
꽤나 공정한 패배
2009 | 4분 | HD
출연: 손무경, 애비 슬래윅
베를린 하이너도르프의 물탑에서 진행된 퍼포먼스를 기록한 영상이다. 이 물탑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러시아 군이 사용한 후 50년 넘게 방치되어 있었다. 2009년 봄, 퍼포머 손무경과 애비 슬래윅은 이 유적 공간 안에서 식물을 기르기 위한 Wasserturm – Organic Graffiti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영상은 그 첫날, 흙을 펴고 씨앗을 심는 조용한 순간을 담아낸다.
Bella & Lilli
2008 I 4:49 I HD I Single channel video installation
Starring Bella and Lilli
On a Brooklyn rooftop, two girl friends attempt to reenact their gestures from the day before. Their playful performance captures a sense of uneventfulness, idle time, and the ambiguity of simply "being girls." As they prepare to return to Germany, they respond to their temporary surroundings with quiet improvisation and personal rhythms.
"I MADE YOUR MOTHER PERIOD I MADE HER PERIOD PERIOD(2008)", NYU Senior Thesis Exhibition at Rosenberg gallery, NYC, 2008
„Jajaja Nenene“, Fata Morgana Galerie , Berlin, 2016
벨라 & 릴리
2008 | 4분 49초 | HD | 단채널 비디오 설치
출연: 벨라, 릴리
뉴욕 브루클린의 옥상에서 두 친구가 전날의 몸짓을 재연한다. 이 즉흥적인 퍼포먼스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시간, 무의미한 몸짓, ‘소녀’로 존재하는 것의 애매함을 담아낸다. 독일로 돌아갈 날을 앞둔 그들은 임시적인 환경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반응하며 시간을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