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의 범위: 정류장들 2024
〈오차의 범위: 정류장들〉은 여행자들의 이야기다.
각기 다른 언어와 감각을 지닌 일곱 여행자들은 지나치는 낯선 풍경과 표정들을 ‘만남’을 통해 극장에 펼쳐낸다.
우리는 모두 기차를 탄 적 있다. 창밖으로 초원이 등장했다가 사라졌고, 많은 집과 그보다 더 많은 무덤이 있다가 사라졌다. 황량한 평원은 눈 덮인 산맥이 되고, 지저분한 골목은 눈부신 강이 된다. 가만히 있는 여행이 끝난 뒤 기차에서 내리면, 종종 정류장에서 만난 미지의 누군가에게 내가 잠시 연루되었던 풍경을 보여주고자 하는 열망에 휩싸인다. 극장에서 빠져나와 내가 보았던 연극의 낯선 장면을 누군가에게 어떻게든 전달하려 애쓰던 몸과 언어들이 떠오른다.
그 순간 극장은 태어나곤 했다.
〈오차의 범위: 정류장들〉의 극장도 계속해서 태어난다. 그곳에서 저마다의 방법으로 풍경을 보고 듣고 말하려 분투하는 사람들이 있다. 각자의 풍경을 나누고 서로의 풍경을 이식한다.
이때 우리의 몸은 저마다의 극장을 열고, 무수한 시공간을 경유하여 복수의 화자들을 통과한 이야기는 고유한 언어로 번역되어 우리들의 정류장에서, 지금 여기 극장에서 다시 만난다.
출처: 아르코예술극장
Tolerance:Stations
is a performance about seven travelers, each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ways of sensing the world. Through fleeting landscapes and encounters, they collectively recreate moments of travel inside the theater. Like a memory of gazing out from a train window—fields turning into mountains, alleys into rivers—the performance evokes the desire to share transient scenes with strangers met along the way. In this space, bodies and voices strive to translate what was once seen, heard, and felt. Here, the theater is continuously reborn—where personal landscapes are exchanged and reframed through others, creating a shared act of witnessing.
기획·연출 정혜린│PD 임지지│드라마트루그 김상훈│무대감독 이라임│시노그래퍼 서가영│기록 이소정│그래픽디자인 마카다미아오│접근성매니저 성다인│주최주관 정혜린│제작런더앤싸이트닝│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화자 : 권정훈, 김그레이스, 다이애나밴드, 배선희, 백종관, 오로민경, 허윤경
아카이브 영상:이소정
사진 기록: 이소정
그레이스로부터:
여행 중 만난 낯선 이와 의도치 않은 마음을 나누고 예기치 못한 순간에 공명하며 뜻밖의 상태로 전환된 내 자신을 발견합니다.
의미를 알 수 없는 풍경의 조각들로 촉발된 대화는 공기 중으로 분사된 물방울 혹은 여러 갈래로 나뉜 나무의 잔뿌리를 타고
수만 개의 가능성으로 흩어졌다가, 아주 우연히 화자의 몸 어딘가 저장되어 있던 기억의 조각들로 이어집니다.
의미를 알 수 없는 풍경의 조각들로 촉발된 대화는 공기 중으로 분사된 물방울 혹은 여러 갈래로 나뉜 나무의 잔뿌리를 타고
수만 개의 가능성으로 흩어졌다가, 아주 우연히 화자의 몸 어딘가 저장되어 있던 기억의 조각들로 이어집니다.
From Grace:
While traveling, I find myself unexpectedly sharing feelings with strangers, resonating in unanticipated moments,
and suddenly encountering a transformed version of myself.
Conversations sparked by fragments of incomprehensible landscapes scatter like mist in the air or branch out like the fine roots of a tree—splintering into countless possibilities—only to return, by chance, as fragments of memory stored somewhere in the speaker’s body.
A reply to Sunhee.
선희에게 쓴 답장
선희에게 쓴 답장
A reply to Junghoon.
정훈에게 쓴 답장
A reply to Yoonkyung.
윤경에게 쓴 답장